입는 방법, 2019, 서울, 한국

Ways of Dressing, 2019

2019년 12월 27일 — 12월 28일, 스튜디오 화이, 서울

 

90년대 이후 패션디자이너들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물려받은 유산과도 같은 개념들에 현대적 취향을 덧입혀 새로운 이름으로 이를 재활용해왔다. 지금까지도 패션이라는 이름 아래 양산되는 다양한 미학들은 빠르게 교체되고 다시 순환하는 트렌드의 고리 속에서 임계치에 다다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포화 속에서 기성복(ready-to-wear) 시장은 더이상 디자이너의 독창성이 마케팅 전략으로 유효하지 않다는 것을 직감했고, 디자인의 출처를 따지거나 생산 노동에 대한 임금을 보장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생산, 유통, 판매’의 과정을 일원화하는 전략을 취했다. 이 전략은 저렴한 값으로 빠르게 트렌드를 반영한 상품들을 시장에 대량 출몰시켰는데, 매시즌 새로운 것을 사야만 하는 소비자의 소비욕에 적절히 맞아들어 ‘패스트 패션’의 흐름을 형성했다. 

트렌드를 따르되(남의 눈치를 보면서) 동시에 자아표현도 해야 하는 패션이라는 문화 안에서, 착용자는 산업의 소비주의적 구조에 떠밀려 옷이 ‘소비’의 대상이기 이전에 ‘착용’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잊은 듯 했다. 하지만 한동안 주류를 형성하던 패스트 패션에 대한 반작용으로 이제 소비자(혹은 착용자)는 자신의 주체성을 사는 것(소비)과 입는 것(착용) 가운데 어떤 영역에서 발휘할 것인가를 두고 갈등하고 있으며, 이는 곧 지속 가능한 패션, 의류의 재판매, 중고(pre-owned), 임대(rental)시장의 발전 등으로 인해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이 경계를 모호히 한 채 공존하는 양상으로 발현되고 있다. 

‘Ways of Dressing’에서 SEHIKYO는 착용자의 주체성 발현을 위해 모든 '입는 방식'에 대하여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는 디자이너의 독창성이나 생산 기술 혁신에 상당 부분 의지하던 패션 산업의 흐름에 제기하는 하나의 질문이자, 다양성과 지속 가능성 그리고 경제성에 대한 높아지는 요구에 반응하는 대안적인 제안이다. 이 실험에서 SEHIKYO는 인체의 실루엣과 소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착용’의 소스가 될 몇 몇 가먼트를 제안한다. 착용자는 만들어진 제품을 소비하고, 디자이너의 완결된 의도를 이행하는 것을 벗어나 ‘옷’을 중심에 두고서 입는 방식에 대한 적극적인 대화에 참여한다. 특정 단서나 편견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모든 소스는 행거(조차) 없이 흐르는 순간의 상태 그대로 놓인다. 착용자는 모든 미필적 — 더디고, 낯선, 때로는 당황스러울 수 있는 — 선택의 상황을 받아들이며 각자의 ‘입는 방식’을 결정한다. SEHIKYO는 관찰자로서, 착용자에 의해 결정된 룩을 수용하고, 다만 결과로 도출되는 경향을 파악하여 또다른 ‘착용’의 소스를 제안한다. 

 

글: 김서희
윤문: 김하은
영문 번역: 장혜림 (Helen Chang)